728x90
반응형

단순 구현 문제이다.

Y = 2018
M = 7
D = 29
print("%d%02d%02d" % (Y, M, D)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살아남고 싶으면 1을 출력해주면 되는 괴상한 문제이다.

print(1)

 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사칙연산 문제이다.

이 문제도 마찬가지로 파이썬은 오버플로우가 없으므로 그냥 입력받아서 곱한 결과를 출력해주면 된다.

print(sum(map(int, input().split()))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구현 문제이다.

아니ㅋㅋㅋㅋ

print("I'm Sexy")

 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한 사칙연산 문제이다.

t = int(input())
print(t//5 + (1 if t%5 else 0))

 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사칙연산 문제이다.

N = int(input())
print(N*(N-1)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수학? 출력? 문제이다.

파이썬은 오버플로우가 없어서 그냥 바로 입력 받고 나머지를 출력해주면 된다.

print(int(input())%20000303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사칙연산 문제이다.

열의 개수(M)만 잘 써주면 된다.

N, M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K//M, K%M, end = ' '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구현 문제이다.

뭐 이딴 문제가 다 있나ㅋㅋ

N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for _ in range(N):
    li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print("비와이")

 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사칙연산 문제이다.

파이썬은 오버플로우가 없어서 그냥 곱한 것을 출력해주면 된다.

n1, n2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n1*n2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출력 문제이다.

ㅋㅋㅋㅋ 진짜 별 문제가 다 있는 것 같다.

print("고려대학교"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정말 간단한 사칙연산 문제이다.

print(sum(map(int, input().split()))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구현 문제이다. ord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풀 수 있다.

ord 함수가 문자의 아스키코드를 알려주는 것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맙소사...

ord("가") = 44031이라는 결과를 반환해주고 그 이후에 글자들은 44032, 44033,...  순서대로 저장돼 있었다. 

print(ord(input()) - ord("가") + 1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출력 문제이다. 파이썬은 문자열을 더할 수 있어서 더 쉽다.

print(input() + "??!")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출력 문제이다.

별 문제가 다 있는 것 같다ㅋㅋ

print("2021-02-02")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