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단순 구현 문제이다. ord 함수를 사용하면 쉽게 풀 수 있다.

ord 함수가 문자의 아스키코드를 알려주는 것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맙소사...

ord("가") = 44031이라는 결과를 반환해주고 그 이후에 글자들은 44032, 44033,...  순서대로 저장돼 있었다. 

print(ord(input()) - ord("가") + 1)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