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format을 잘 사용해주자.

for i in range(int(input())):
    print("Case #{0}: {1}".format(i+1, sum(list(map(int, input().split()))))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다리가 잘린 닭의 수는 닭의 수(M)*2 - 모든 닭의 다리수의 합(N)이고

멀쩡한 닭의 수는 닭의 수(M) - 다리가 잘린 닭의 수(M*2 - N)이다.

for i in range(int(input())):
    leg, ch = map(int, input().split())
    cc = 2*ch - leg
    print(cc, ch-cc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입력의 곱을 출력해주면 된다.

a, b = map(int, input().split())
print(a*b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[::-1]은 리스트를 거꾸로 정렬해준다. 종종 사용할 일이 있으니 기억해두는 게 좋다.

w = input()
print(int(w == w[::-1])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입력이 '0 0'이 아니라면 입력의 합을 출력해준다.

while(True):
    li = list(map(int, input().split()))
    if sum(li) == 0:
        break
    print(sum(li)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그냥 입력을 받으면 상당히 느리다. 

sys.stdin을 통해 빠르게 입력을 받자.

import sys
for line in sys.stdin:
    print(sum(list(map(int, line.split())))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입력의 합을 출력해주면 된다. map을 사용해서 쉽게 풀자.

for i in range(int(input())):
    print(sum(list(map(int, input().split())))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 팩토리얼 문제다.

ans = 1
for i in range(1, int(input())+1):
    ans *= i
print(ans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b보다 작은 수를 순서대로 출력해주면 된다.

a, b = map(int, input().split(" "))
c = list(map(int, input().split(" ")))

for i in range(a):
    if b > c[i]:
        print(c[i], end = " "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피보나치 수 4랑 답이 같다.

n = int(input())
a, b = 0, 1
for i in range(n):
    a, b = b, a+b
print(a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A, B = map(int, input().split())
print(A+B)
print(A-B)
print(A*B)
print(A//B)
print(A%B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단순한 피보나치 수 문제이다. 1, 1, 2, 3, 5, 8, 13, 21...

n = int(input())
a, b = 0, 1
for i in range(n):
    a, b = b, a+b
print(a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li = input().split()
print(int(li[0]+li[1]) + int(li[2]+li[3])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리스트를 정렬하고 처음 값(최소)과 마지막 값(최대)을 출력해주면 된다.

_ = input()
li = sorted(list(map(int, input().split())))
print(li[0], li[-1])

728x90
반응형
728x90
반응형

세 수를 정렬하고 가운데 값을 출력해주면 된다.

print(sorted(map(int, input().split()))[1])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