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단순 구현 문제이다. 

사실 L <= R 조건 때문에 답은 항상 X, L, R을 정렬한 결과의 중간값이 된다.

1. X가 제일 작을 경우 -> 정렬 결과: X, L, R -> X와 제일 가까운 수는 L

2. X가 중간값일 경우 -> 정렬 결과: L, X, R -> X와 제일 가까운 수는 X

3. X가 제일 클 경우 -> 정렬 결과: L, R, X -> X와 제일 가까운 수는 R

답이 모두 X, L, R을 정렬한 결과의 중간값이 된다.

 

print(sorted(map(int, input().split()))[1])
X, L, R = map(int, input().split())
res = 0
m = 100000
for n in range(L, R+1):
    if abs(X-n) < m:
        m = abs(X-n)
        res = n
print(res)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