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제한시간이 짧은 문제라 반복문을 쓰면 바로 시간 초과가 뜬다.

n = (V-B)//(A-B) 이 식이 핵심이다. 

V에 B를 빼준 이유는 맨 마지막 목적지에 도착할 때는 뒤로 가지 않기 때문이다

-> 마지막에는 A-B가 아닌 A만큼만 가면 되기 때문에 미리 V에 B를 빼주는 것이다.

V-B를 A-B로 나누었을 때 딱 나누어지면 딱 맞게 목적지에 도착한 상황이기에 n을 그대로 출력해주면 된다.

딱 나누어지지 않는다면 한 번 더 올라가야 되는 상황이므로 n에 1을 더한 값을 출력해준다.

A, B, V = map(int, input().split())
n = (V-B)//(A-B)
if (V-B)%(A-B):
    print(n+1)
else:
    print(n)

728x90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