책 리뷰/클린코드
6장 객체와 자료구조
kimjinho1
2022. 3. 1. 23:22
728x90
반응형
TIL (Today I Learned)
2022.03.01
오늘 읽은 범위
6장 객체와 자료구조
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.
- 변수 사이에 함수라는 계층을 넣는다고 구현이 감춰지지는 않는다.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하다 (p.119)
-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다 (p.119)
- 디미터 법칙 ->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 (p.123)
- 잡종 구조 -> 절반은 객체, 절반은 자료 구조인 구조 -> 함수나 타입을 보호할지 공개할지 확신하지 못해서 나오는 어중간한 설계인데, 되도록 피하도록 하자
- 새로운 자료 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객체,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자료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더 적합하다 (p.128)
오늘 읽은 소감은?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
최근에 자바 공부를 시작했었는데 이렇게 객체 지향 관련 글은 보니 복습이 된 것 같다. 하지만 다시 봐도 꽤 어렵게
느껴진다. 실제로 프로젝트를 해서 뭔가를 좀 만들어봐야 감을 잡을 수 있을 것 같다.
제일 기억에 남는 말은 우수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편견 없이 직면한 문제에 최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이다.
결국 개발자가 해야 하는 것이 문제 해결인데 그에 딱 맞는 말인 것 같다.
728x90
반응형